1. | ![]() |
오리엔테이션 | 공간(위치)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기술을 배우는 과목으로, 도시계획, 환경, 교통, 재난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GIS의 기초 개념부터 실무 활용법까지 학습한다. | ![]() |
![]() |
공간정보체계 이해 | 공간정보의 정의, 구성 요소, 데이터 형태(벡터/래스터) 등을 학습합니다. GIS의 구조와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. | ![]() |
|
2. | ![]() |
지도의역사 | 고대 지도부터 현대 디지털 지도까지의 변천사를 살펴봅니다. 지도 제작 기술의 발전과 GIS와의 연결고리를 이해한다. | ![]() |
3. | ![]() |
공간정보기술 | GNSS, 원격탐사, LiDAR 등 공간정보 획득과 처리에 쓰이는 최신 기술을 개관합니다. 기술별 특성과 적용 분야를 학습한다. | ![]() |
4. | ![]() |
공간정보시스템 운영과정(1) | 공간정보시스템의 구축 초기 단계인 요구 분석, 데이터 수집과 설계 과정을 다룹니다. 실무 시스템 설계의 기본 흐름을 익힌다. | ![]() |
5. | ![]() |
공간정보시스템 운영과정(2) | 구축된 GIS의 운영, 분석, 시각화, 서비스 배포 및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설명합니다. 실제 사례를 통해 흐름을 학습한다. | ![]() |
6. | ![]() |
자료구조(1) | 벡터 데이터(Point, Line, Polygon)의 구조와 속성 연결 방식을 학습합니다. 위상 정보와 파일 포맷(Shapefile 등)도 다룬다. | ![]() |
7. | ![]() |
자료구조(2) | 래스터 구조의 특성과 이미지 기반 공간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학습합니다. 셀 단위 해상도와 그리드 구조 등을 다룬다. | ![]() |
8. | ![]() |
지도와 좌표계(1) | 지도 투영법과 위도·경도의 의미, 왜곡 요소를 이해합니다. GIS에서 지리공간 정확도 확보의 중요성을 배운다. | ![]() |
9. | ![]() |
지도와 좌표계(2) | 다양한 좌표계(Datum, UTM, KATEC 등)와 좌표 변환 기법을 학습합니다. 실습을 통해 좌표계 적용법을 익힌다. | ![]() |
10. | ![]() |
원격탐사(1) | 위성 영상의 기본 개념과 분광 정보 분석법을 학습합니다. NDVI와 같은 환경 분석 기술도 소개. | ![]() |
11. | ![]() |
원격탐사 (2) | SAR, 열영상 등 다양한 센서 영상 활용법과 영상 분류, 변화 탐지 기법 등을 학습한다. | ![]() |
![]() |
GNSS | GPS를 포함한 글로벌 위성항법시스템의 원리와 활용법을 이해합니다. 정확도 향상 기술(DGPS, RTK 등)도 소개. | ![]() |
|
12. | ![]() |
공간분석 | 버퍼, 오버레이, 네트워크 분석 등 GIS의 핵심 공간 분석 기법을 실습 중심으로 학습한다. | ![]() |
![]() |
데이터베이스 |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개념을 학습합니다. SQL 기반 공간 쿼리도 소개. | ![](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