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| ![]() |
강의소개영상 | 사회봉사 교과목은 자원봉사에 대한 기초 이론과 실천적 태도를 함양함으로써,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책임 있는 시민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| ![]() |
![]() |
교과목 소개 및 자원봉사의 기초개념 이해 | 1. 수업소개 2. 사회봉사의 개념 3. 사회봉사의 의의 4. 사회변화와 사회봉사 5. 사회봉사활동의 특성 |
![]() |
|
2. | ![]() |
자원봉사의 철학과 필요성 및 동기이론 | 1. 사회봉사를 통해서 경험할 수 있는 것들 2. 영감, 스토리, 융복합, 콜라보레이션, 혁신, 신기술, 동참 |
![]() |
3. | ![]() |
복지 선진국의 자원봉사 현황 | 1. 영국, 미국, 일본의 사회봉사 발전과정 2. 한국의 사회봉사 발전과정 |
![]() |
4. | ![]() |
자원봉사의 역사 | 1. 사회봉사의 철학 2. 사회봉사의 동기 3. 사회봉사 관련 이론 |
![]() |
5. | ![]() |
자원봉사활동기본법과 자원봉사센터 | 1. 사회봉사의 이념과 가치 2. 사회봉사자의 자세와 유의사항 3. 사회봉사자의 권리 |
![]() |
6. | ![]() |
자원봉사관리의 개요, 자원봉사관리과정 1 | 1. 자원봉사활동기본법 2. 자원봉사센터 3. 경일대 사회공헌원 |
![]() |
7. | ![]() |
자원봉사관리과정 2 | 1. 사회봉사활동 과정에서의 갈등이해 2. 사회봉사활동에서의 갈등관리 |
![]() |
8. | ![]() |
자원봉사관리과정 3 | 1. 사회봉사활동 과정에서의 위험이해 2. 사회봉사활동에서의 위험관리 |
![]() |
9. | ![]() |
자원봉사관리과정 4 | 1. 청소년 2. 대학생 3. 청년세대 4. 중년여성세대 5. 베이비붐세대 6. 노인 7. 기업 |
![]() |
10. | ![]() |
자원봉사 프로그램의 개발 | 1. 사회봉사활동 현장의 유형 2. 사회봉사활동 현장별 고려해야 할 점 |
![]() |
11. | ![]() |
자원봉사 참여자별 특성 | 1. 아동 2. 청소년 3. 노인 4. 장애인 5. 다문화가족 6. 지역사회 7. 국제사회 |
![]() |
12. | ![]() |
자원봉사 서비스 대상별 특성 | 1. 사회봉사 프로그램 개발 기술 2. 사회봉사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 |
![]() |
13. | ![]() |
자원봉사활동 현장별 특성, 새로운 자원봉사 패러다임, 봉사확인서 출력방법 | 1. 새로운 개념의 사회봉사 2. 사회봉사의 과제 3. 사회봉사의 전망 |
![]() |